충남도 ‘우보만리’ 전략으로 수소비전 구체화
서두르지 않고 꾸준히 실행…국가계획 수립 시 바로 연계
외부 전문가 적극 활용…12월 국제포럼 추진계획도 밝혀
2016년 07월 21일 (목) 13:20:40[ 장성혁 기자 babo@tenews.kr ]
[투데이에너지 장성혁 기자] 충청남도가 수소경제사회 진입을 위한 행보에 나섰다. 실행 가능한 단계별 추진전략을 하나씩 서두르지 않고 꾸준히 펼쳐 가겠다는 방침이어서 특히 주목된다.

충남도는 수소경제사회 구현을 목적으로 국내외 선진도시 사례를 공유하고 지방정부 역할을 모색하는 ‘충남 수소에너지 국제포럼(가칭)’을 오는 12월 개최한다. 또 올해까지 수소사회 미래상을 제시하고 분야별, 단계별 추진전략이 담긴 로드맵을 구체화한다.

  
▲ 충남도가 서두르지 않으면서도 꾸준히 수소경제사회 진입을 위한 노력을 경주한다는 방침이다. 일환으로 오는 12월 수소에너지 국제포럼 개최 계획도 밝혔다. 사진은 수소경제사회 구현전략을 주제로 발표한 김정호 충남도 에너지산업과장.

이같은 계획은 19일 충남개발공사 대회의실에서 개최된 충남 수소에너지 포럼에서 언급됐다.

김정호 충남도 에너지산업과장은 ‘충청남도 수소경제사회 구현 전략’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서두르지 않고 드러나지 않지만 실행가능한 단계별 추진전략을 마련해 나가겠다”라며 “향후 국가계획이 수립되면 바로 연계할 수 있는 핵심과제 위주로 천천히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충남도의 수소경제사회 기본방향을 밝혔다.

충남도는 이를 위해 먼저 3대 추진전략을 구체화했다. 미래비전을 제시하고 사회적 수용성과 원천기술을 확보해 가겠다는 구상이다. 이러한 추진전략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접근한다.

가장 먼저 외부 전문가 풀(Pool)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충남도는 최근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기후에너지전략특별위원회’를 설치했다. 비상설조직이지만 2개 분과를 구성해 17명의 전문가를 위원으로 위촉했다. 위원회는 각종 세미나와 연구용역 자문을 통해 충남도 에너지비전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자료를 제공하게 된다.

또 하나 주목되는 것은 ‘수소에너지 포럼’이다. 충남도는 이날 개최한 포럼을 시작으로 오는 12월 국제포럼 개최 계획을 밝혔다. 수소에너지 관련 국내외 전문가의 폭넓은 의견을 듣고 자체 수소비전 마련에 속도를 낸다는 구상이다.

외부 전문가의 의견이 비전마련을 위한 전략적 포석이라면 충남도가 추진 중인 ‘수소차부품산업육성’ 예타 추진사업은 실행력을 높일 동력이 될 전망이다.

충남도는 현재 수소차산업 활성화를 위한 부품산업 육성내용이 담긴 사업내용으로 정부 예타사업 심의를 받고 있다. 빠르면 8월 중 최종 확정여부가 판가름날 것으로 예상된다.

수소차 부품산업이 예타사업으로 확정될 경우 다양한 인프라 구축을 위한 예산확보는 물론 관련기업 유치와 인력양성 등이 가능해 수소차부품산업 생태계 구성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충남도의 수소비전 실행에 직접적인 촉매역할이 기대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충남도는 이 외에도 수소에너지 산업화를 위한 프로젝트 기획안을 이날 공개했다. 현재 내포에 구축된 수소충전소를 대상으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수소 융복합사업을 추진한다. 태양광에서 생산된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얻은 후 차량에 주입하겠다는 구상이다.

또 대산산업단지의 풍부한 부생수소를 활용해 수소타운을 조성한다. 현재 운영 중인 울산수소타운을 벤치마킹한 개념으로 다양한 실증사업 추진이 용이하다.

이같은 기획은 수소차부품산업육성사업을 기반사업으로 끌어가되 관련 프로젝트를 동시에 추진해 산업화에 나서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 이택홍 호서대 교수(가운데)가 좌장으로 토론을 이끌고 있다.

한편 이날 주제발표에 나선 홍원표 충남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수소에너지가 궁극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과 맞물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연구원은 “수소에너지는 사실상 에너지 캐리어(운반체)로서 작용해 2차에너지로 볼 수 있다”라며 “재생에너지를 통한 수소생산시스템을 갖춰야 친환경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외국에서 수소를 대량으로 수입하거나 원자력을 통한 수소제조에 의지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소충전인프라 구축에 있어 정부와 지자체 중심이 아니라 민간주도로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토론 패널로 참석해 산업화 과제발표에 나선 장봉재 이엠솔루션 부사장은 “수소충전인프라 구축시장은 과거 LPG충전소 구축 흐름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는데 초기 300~400기가 구축되면 이후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며 “지금과 같이 정부, 지자체에 전적으로 의지하는 시스템으로서는 300기 구축시기를 예상하기 어려운만큼 민간이 투자해 구축시장에 뛰어들 수 있는 시스템으로 빨리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서는 김종원 에기연 책임연구원의 기조강연으로 시작해 홍원표 충남연구원 책임연구원(수소경제사회 구현을 위한 주요 선진국의 추진사례), 양태현 에기평 연료전지PD(수소및연료전지 기술개발 및 보급계획), 박종진 현대차 연료전지개발팀장(수소연료전지차 개발 현황)이 각각 주제발표했다.

이어 이택홍 호서대 교수가 좌장을 이끈 가운데 △기술개발과제(김창희 에기연 책임연구원) △산업화과제(장봉재 이엠솔루션 부사장) △제도개선과제(채충근 미래에너지기준연구소 소장) △충남도 추진계획(김정호 충남도 에너지산업과장)에 대한 주제발표 및 토론이 진행됐다.

  
▲ 19일 충남도 수소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

충남도 ‘우보만리’ 전략으로 수소비전 구체화 서두르지 않고 꾸준히 실행…국가계획 수립 시 바로 연계외부 전문가 적극 활용…12월 국제포럼 추진계획도 밝혀2016년 07월 21